-
CRPS(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와 CIPA(선천성 무통각증 및 무한증)자기계발,일기 2018. 12. 4. 00:35
나는 지금까지 CRPS(희귀병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환자에 관한 뉴스를 보면서, 정말 이 병은 신이 있다면 한 인간에게 내릴 수 있는 가장 악한 저주라고 생각했었다. CRPS로 고통받는 사람의 표정을 보면 이미 삶을 지속하기를 포기한 사람의 표정일 정도로 그 고통 자체가 심각한 것은 당연했고, 무엇보다 CRPS증상을 겪게 되는 큰 계기가 없이 자연스럽게(?) 증후군 증상을 보이게 된다는 점이 정말 무서웠다. 내가 지금까지 알아본 CRPS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CRPS :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 신체의 특정부위가 아리거나 화끈거리는 등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극심한 통증이 지속되는 질환. 현재 국내에서 약 1.5만 명 정도가 이 증후군으로 고..
-
[이슈] 금산분리와 은산분리의 차이점은?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주식 2018. 12. 2. 14:33
작년 출범한 인터넷전문은행은 시작부터 금융권에 이슈가 되었다. 특히 인터넷전문은행 2호인 카카오뱅크의 등장은 카카오톡의 모바일 네트워크를 활용한 간편한 송금방식 등으로 기존 은행들이 가지지 못한 장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되었고, 기존 은행들은 발빠르게 대책 강구에 들어가기도 하였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하면서 등장한 이슈가 금산분리, 혹은 은산분리와 관련된 이슈였다. 금산분리와 은산분리는 무엇이며, 둘의 차이점과 왜 이런 이슈가 발생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1. 금산분리란 무엇인가? 금산분리의 사전적 정의는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이 서로의 업종을 소유하거나 지배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산업자본은 금융자본이 아닌 비금융 일반회사의 자본을 말한다. 따라서 금산분리란 금융회사와 비금..
-
[투자] 신약? 바이오시밀러? 제네릭? -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주식 2018. 11. 30. 01:03
금융감독원이 주요 제약ㆍ바이오회사들의 연구개발비 자산화에 대한 감리를 모두 마친 후, 지난 9월 '제약ㆍ바이오기업의 R&D 회계처리 관련 감독 지침'을 발표하였다(관련글 : https://improvemyself.tistory.com/36). 지침을 보면 약품의 유형별로 자산화할 수 있는 단계가 다른데(신약은 임상3상 개시 승인, 바이오시밀러는 임상1상 개시 승인 등),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약품의 유형으로 '신약', 바이오시밀러', '제네릭', '진단시약' 이 있다. 각각이 의미하는 의약품의 개념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1. 신약(바이오신약) 말그대로 신약(新藥)이다. 완전히 새로 만들어낸 약품으로, '특별한 기능의 신물질'이나 '기존 물질의 새 효능'을 의약품으로 만들어 보건당국의 제조승인을 받은..
-
'내말이!'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영어 2018. 11. 28. 21:21
대화를 하다가, 상대방의 의견에 격하게(?) 동의하는 경우 짧게 '내말이!' 라고 하게 된다. '내말이!'가 어울리는 상황에서 '그래 나도 그렇게 생각했다니까!' 라든지 '그래 그게 내 생각이었다니까!' 라고 말하기엔 뭔가 상황에 딱 맞지 않는 것 같고 타이밍도 그다지 맞지 않는 느낌이 든다. '내말이!'가 딱 어울리는 상황에는 그걸 써야 가장 잘 어울리는데, 영어로는 '내말이!' 를 어떻게 할까? 영어로는 'I mean!' 이라고 한다. 한글 만큼이나 아주 짧고 간단하다. 영어와 한국어가 이렇게 정말 거의 똑같은 의미로 길이까지 비슷하게 일대일 대응이 되는 경우가 그렇게 많지 않는데, 'I mean!'은 우리나라말의 '내말이!'의 의미를 거의 100% 담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 조금 더 길게 말하고..
-
[이슈] 롯데그룹의 롯데카드, 롯데손해보험 매각 - 지주회사 체제 전환 및 금산분리 관련주식 2018. 11. 28. 06:50
롯데그룹은 최근(27일) 롯데그룹 내 금융사(롯데카드, 롯데손해보험)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매각 결정의 이유는 무엇이고, 향후 매각의 진행방향은 어떻게 될지 정리해 보았다. 1. 매각의 이유는 무엇인가 롯데카드와 롯데손해보험을 매각하는 이유는 '(금융 지주회사가 아닌)일반 지주회사는 금융회사 주식을 소유할 수 없다'는 공정거래법을 따르기 위해서이다. 금융지주회사와 일반지주회사는 그 성격과 적용받는 법이 약간씩 다른데(금융지주회사는 별개로 금융지주회사법의 적용을 받는다), 위의 공정거래법에 따라 일반 지주회사는 금융회사를 소유할 수 없다. 금융회사를 소유하기 위해서는 일반지주회사가 아닌 금융지주회사로 전환해야 한다. 기존에 금융회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회사가 지주회사로 전환되는 경우 ..
-
[기타] 연차보고서(Annual Report)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Sustainability Report)란?주식 2018. 11. 26. 23:49
회사가 의무적으로 공시하여야 하는 사업보고서 외에, 재무적/비재무적 성과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대표적인 보고서로 연차보고서(Annual Report)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Sustainability Report, CSR report)가 있다. 두 보고서 각각의 개념과 차이 등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1. 연차보고서(Annual Report, 애뉴얼리포트) 연차보고서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초점을 맞춘 보고서로, 회사의 영업실적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따라서 재무제표를 근거로 작성되어야 하며, 보고서 상에 재무제표가 함께 포함되어 작성된다. 작성에 대한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은 없으며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를 마친 기업의 재무제표가 작성 근거가 된다. 회사 전반의 매출액/영업이익에 대한 설명, 주력 상품/..
-
[이슈] 제약ㆍ바이오주의 R&D비는 자산으로? 비용으로? (연구개발비 자산화 이슈)주식 2018. 11. 25. 09:45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회계분식 이슈와 더불어, 올해 상반기 주식시장, 특히 코스닥의 큰 흐름에 영향을 주었던 이슈 중 하나가 제약ㆍ바이오주의 연구개발비용(R&D비용)의 회계처리 문제였다. 무엇이 문제였는지, 현재는 어떠한 흐름인지 등을 정리해 보았다. 1. 무엇이 문제였는가 '제약ㆍ바이오주 R&D비용 회계처리 이슈'에서 쟁점사항이 되었던 것은 제약ㆍ바이오회사의 재무제표에서 'R&D비용(연구개발비용)을 자산으로 처리하는 것이 맞는가' 이다. 올해 3월 줄기세포 대장주였던 차바이오텍이 R&D비 대부분을 자산으로 처리했다가 회계법인으로부터 한정의견을 받으면서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며 이 이슈가 제약ㆍ바이오주 주가의 향방을 결정지을 만한 관심사로 떠오르게 되었다. 또한, 셀트리온의 경우도 높은 연구개발비 자산화 비율(..
-
[투자] 권리락과 배당락 - 2. 배당락주식 2018. 11. 24. 09:09
지난 글(https://improvemyself.tistory.com/34) 에서는 권리락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배당락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2. 배당락 : 기업이 배당을 실시함에 있어 배당 기준일에 주주 자격을 갖추지 않아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게 되는 것. 권리락때와 마찬가지로 배당락이 발생하는 날은 그 전일에 비해 개장시 주가가 하락하여 시작한다. 현금배당의 경우는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진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배당금만큼 주가가 하락하여 시작하고, 주식배당의 경우는 무상증자, 액면분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식수가 늘어남에 따라 주가가 인위적으로 하락조정되어 시작한다(시가총액이 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권리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배당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