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 개념정리] Chap 3. 주어와 동사 - 수 일치영어 2020. 11. 13. 05:46
[be동사의 수 일치] be동사가 현재 시제나 과거 시제인 경우 주어와의 수 일치가 필요하다. 주어가 1인칭 단수이면 am/was, 3인칭 단수이면 is/was, 그 외(2인칭 단수 또는 모든 인칭의 복수)에는 are/were를 쓴다. 미래 시제일 경우 공통적으로 will be를 사용하며 수 일치가 필요 없다. [일반동사의 수 일치]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현재 시제의 동사에 s(혹은 es)를 붙인다. 과거/미래 시제일 경우 수 일치가 필요 없다. [조동사의 수 일치] 조동사는 주어의 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조동사는 주어와의 수 일치를 하지 않아도 되고, 시제 일치만 하면 된다. [자주 접할 수 있는 수 일치 형태] 'every+단수명사', 'each+단수명사'가 주어일 때 → 단수동사 'one..
-
[영어 개념정리] Chap 2. 주어와 동사 - 조동사영어 2020. 11. 2. 06:57
[조동사의 정의] 조동사란 일반적으로 be동사나 일반동사 앞에 쓰여 뒤쪽의 be동사나 일반동사에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는 기능을 한다. 동사의 일종으로 본다. '조동사 + be동사/일반동사' 가 한 묶음으로 해석된다. [조동사의 종류] 조동사에는 can(could), may(might), must, shall(should), will(would) 등이 있다. could, might, should, would는 과거형태이나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1) can, could - can : 가능성을 나타내며 일반동사와 함께 쓰여 '~할 수 있다', be동사와 함께 쓰여 '~일 수 있다' 로 해석된다. 또는 추측이나 의혹을 나타내기도 하며, (It cannot be ~ / How can it be~ ?) 허가의..
-
[영어 개념정리] Chap 1. 주어와 동사 - 기본개념영어 2020. 10. 28. 06:48
[주어] 1. 주어는 ‘~은,~는,~이,~가’로 해석된다. 2. 주어 자리에 올 수 있는 것: 문장에서 ‘명사의 범주에 해당하는 것’ 이 주어가 될 수 있다. → 명사 / 대명사 / 동명사(동사+ing) / to부정사(to+동사원형) / 명사절 3. 가주어 it과 진주어: 주어가 길면 가주어 it을 주어 자리에 대신 쓰고 긴 주어는 뒤로 보낸다. 뒤로 보내는 진주어는 주로 that절(that+주어+동사)이나 to부정사구가 된다. *there is/remain/exist (~가 있다) 절에서의 there도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가주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가주어 it과 비인칭주어 it은 모두 문장 안에서 해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같다. 그러나 가주어 it의 경우 진주어가 문장 안에 존재하나, 비..
-
한국 VS. 미국 주식 우량주 장기투자 10년 비교주식 2020. 10. 5. 07:59
최근 우리나라 사람들의 미국시장 투자가 부쩍 늘고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와 미국의 우량주 장기투자에 대해 얘기해 보려고 한다. 주식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우량주 장기투자는 승리한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시가총액이 큰 종목 위주로 사고, 장기간 보유하면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뜻인데, 과연 정말 그런지, 한국과 미국의 10년 동안의 우량주들의 주가 흐름을 비교하며 알아 보도록 하겠다. 먼저 한국의 코스피 시장을 알아보았다. 코스피가 코스닥보다 좀더 대형주들, 재무구조가 우량한 종목들이 모여있어 코스닥보다는 우량주 장기투자의 정의에 좀더 부합하는 시장이라고 생각해서, 코스피 종목들을 한번 살펴보았다. 우선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들의 순위 변화를 먼저 살펴보았다. 2010년말 시가총액 상..
-
부동산 투자의 유형 4. 경매, 공매물건 투자부동산 2020. 9. 24. 08:41
이번에는 지난 글의 '분양권 투자'(improvemyself.tistory.com/61)에 이어, 경매,공매물건 투자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경매/공매 투자의 개념 경매/공매 투자란, 경매 혹은 공매로 나온 물건에 입찰하여 시세보다 싸게 삼으로써 발생하는 시세차익을 목표로 하는 투자이다. 원 소유자의 채무불이행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소유자의 재산에 압류를 걸어 경매/공매가 진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물건에 입찰하여 시세보다 싸게 산 뒤 바로 되파는 경우도 있고, 장기 보유할 수도 있다. 경매/공매는 아파트, 빌라, 상가, 토지 등 거의 모든 종류의 부동산을 대상으로 하므로, 투자자 입장에서 다양한 투자대상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현재 사람들의 관심 밖인 물건이나 권리관계가 복잡한 물건은 상대적으로 입..
-
부동산 투자의 유형 3. 분양권 투자부동산 2020. 9. 22. 08:22
이번에는 지난 글의 '재개발/재건축 투자'(improvemyself.tistory.com/60)에 이어, 분양권 투자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분양권 투자란, 분양 이후 입주 전까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시세차익을 목표로 하는 투자이다. 주택 분양 후 특정 시점에 분양권을 매수하고, 입주 전에 매도하여 시세 차익을 챙기는 투자방법을 말한다. 이 때 최초 분양가와 시세차익이 반영된 매수/매도가격의 차이를 프리미엄이라고 한다. 분양가는 일반적으로 주위 시세보다 싸게 측정이 되고, 인기지역일수록 최초 분양가와 시세의 차이가 크다. 그래서 인기지역 청약에 그렇게 사람들이 몰리는 것이다. 최초 분양가는 입주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주위 신축 시세에 근접할 것이며, 이에 따른 프리미엄이 발생할 것이다. 이 프리미..
-
부동산 투자의 유형 2. 재개발/재건축 투자부동산 2020. 9. 21. 08:24
이번에는 지난 글의 '월세 투자'(improvemyself.tistory.com/59)에 이어, 재개발 투자와 재건축 투자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재개발/재건축 투자란, 지역 재개발이나 아파트 재건축사업에서 발생하는 단계별 시세차익을 목표로 하는 투자이다. 재개발/재건축사업은 일정한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데, 뚜렷한 단계가 있는 만큼 그 단계별로 시세 상승이 유의미하게 일어나게 된다. 각 단계가 진행되는 특정 시점에 진입하여, 사업이 진행됨에 따른 시세 차익의 발생을 도모하는 투자 방법이다. 혹은, 먼 미래에 재개발이나 재건축의 대상이 될 것을 염두하고 미리 매수하는 경우도 해당된다. 그렇다면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각 단계는 어떻게 될까? 그 전에, 재개발사업과 재건축사업이 어떻게 다른지 각각의 개념을 먼..
-
부동산 투자의 유형 1-2. 일반물건 매매 - 월세 투자부동산 2020. 9. 19. 18:36
이번에는 지난 글의 '전세 투자'(improvemyself.tistory.com/58)에 이어, 일반물건 투자에서의 ‘월세 투자’ 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월세 투자의 개념 월세 투자란, 건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뒤 월세 임대를 놓아 매달 꾸준히 발생하는 월세를 취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투자 유형이다. 모두 본인의 돈으로 소유권을 취득할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투자 ’라고 하면 대출을 받아 소유권을 취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대출을 받아 소유권을 취득한 후, 월세 임대를 놓아 매달 월세와 대출이자의 차액만큼의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투자를 말한다. 월세 투자의 이유(장점) 월세 투자의 장점은 무엇일까? 월세 투자의 장점은 무엇보다 매월 꾸준한 현금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매월 발생의 시기와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