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
[기타] 연차보고서(Annual Report)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Sustainability Report)란?주식 2018. 11. 26. 23:49
회사가 의무적으로 공시하여야 하는 사업보고서 외에, 재무적/비재무적 성과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대표적인 보고서로 연차보고서(Annual Report)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Sustainability Report, CSR report)가 있다. 두 보고서 각각의 개념과 차이 등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1. 연차보고서(Annual Report, 애뉴얼리포트) 연차보고서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초점을 맞춘 보고서로, 회사의 영업실적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따라서 재무제표를 근거로 작성되어야 하며, 보고서 상에 재무제표가 함께 포함되어 작성된다. 작성에 대한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은 없으며 감사인으로부터 감사를 마친 기업의 재무제표가 작성 근거가 된다. 회사 전반의 매출액/영업이익에 대한 설명, 주력 상품/..
-
[이슈] 제약ㆍ바이오주의 R&D비는 자산으로? 비용으로? (연구개발비 자산화 이슈)주식 2018. 11. 25. 09:45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회계분식 이슈와 더불어, 올해 상반기 주식시장, 특히 코스닥의 큰 흐름에 영향을 주었던 이슈 중 하나가 제약ㆍ바이오주의 연구개발비용(R&D비용)의 회계처리 문제였다. 무엇이 문제였는지, 현재는 어떠한 흐름인지 등을 정리해 보았다. 1. 무엇이 문제였는가 '제약ㆍ바이오주 R&D비용 회계처리 이슈'에서 쟁점사항이 되었던 것은 제약ㆍ바이오회사의 재무제표에서 'R&D비용(연구개발비용)을 자산으로 처리하는 것이 맞는가' 이다. 올해 3월 줄기세포 대장주였던 차바이오텍이 R&D비 대부분을 자산으로 처리했다가 회계법인으로부터 한정의견을 받으면서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며 이 이슈가 제약ㆍ바이오주 주가의 향방을 결정지을 만한 관심사로 떠오르게 되었다. 또한, 셀트리온의 경우도 높은 연구개발비 자산화 비율(..
-
[투자] 권리락과 배당락 - 2. 배당락주식 2018. 11. 24. 09:09
지난 글(https://improvemyself.tistory.com/34) 에서는 권리락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배당락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2. 배당락 : 기업이 배당을 실시함에 있어 배당 기준일에 주주 자격을 갖추지 않아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게 되는 것. 권리락때와 마찬가지로 배당락이 발생하는 날은 그 전일에 비해 개장시 주가가 하락하여 시작한다. 현금배당의 경우는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사라진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배당금만큼 주가가 하락하여 시작하고, 주식배당의 경우는 무상증자, 액면분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식수가 늘어남에 따라 주가가 인위적으로 하락조정되어 시작한다(시가총액이 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권리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배당을..
-
[투자] 권리락과 배당락 - 1. 권리락주식 2018. 11. 24. 09:07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권리락과 배당락 중 적어도 하나는 한번쯤 겪어 볼 것이다. 나의 경우에는 그 개념에 대해 피상적으로는 알고 있으나 정확하게는 알고 있지 못해 이번 기회에 공부해 보았다. 1. 권리락 : 주주배정 유상증자 혹은 무상증자에서 신주 배정 기준일에 주주 자격을 갖추지 않아 신주를 배정받을 권리가 없어지게 되는 것. 신주배정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신주인수권을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되고, 이것이 결정되는 날이 권리락일이 된다. 매수계약체결일에서 2영업일이 지나야 실질적으로 결제가 되어 주식을 소유하는 형태가 되므로, 신주배정기준일에 주식을 소유하고 있으려면 신주배정기준일에서 2영업일 전에 해당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 이 날이 신주를 받을 수 있는지 아닌지..
-
[회계] 종속회사와 관계회사의 차이(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관련)주식 2018. 11. 22. 08:51
이전에 썼던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관련 정리글(https://improvemyself.tistory.com/30)에서 알 수 있듯이, 삼바 분식회계 사태의 핵심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연결종속회사 → 관계사' 의 전환이다. 연결종속회사, 관계사의 각각의 개념을 정리해 보았다. 1. 연결종속회사(종속회사)란? - 연결종속회사란 '지배회사의 실질적인 지배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는 회사'이다. 실질적으로 두 회사가 지배 · 종속 관계에 있는 경우, 법률상으로는 서로 독립적이더라도 재무적으로 한 몸인 '연결실체'로 본다. 연결종속회사로 분류되는 대표적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참고로, 연결종속회사와 종속회사는 같은 의미이다.) 1) 어떤 기업 A가 다른 기업 B의 지분을 50%이상 소유한 경우,..
-
[이슈]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사태 요약 및 정리주식 2018. 11. 20. 06:54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사태가 세간의 화두이다. 왜 화두인지, 무엇이 화두인지, 앞으로의 전개는 어떠할지에 대해 본인의 이해를 바탕으로 정리해 보았다. 1.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사태란 무엇인가?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16년에 상장하기 직전인 2015년에 회계장부를 조작하여 2015년에 순이익을 엄청나게 뻥튀기시킨 사건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줄여서 삼바)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적자를 거듭하던 회사였으나(4년간 누적순손실 약 3천억원) 2015년 약 1.9조의 순이익을 낸 회사가 되었다. 금감원은 이것을 고의적인 회계장부 조작(분식회계)으로 판단, 삼성바이오로직스를 거래정지시켰다. 2016년에 처음 문제가 제기되었고, 2017년 3월에 금감원에서 특별감리에 들어갔고, 올해 11월 분..
-
[투자] 워크아웃과 법정관리 - 2. 법정관리주식 2018. 11. 13. 21:41
지난 글(https://improvemyself.tistory.com/25) 에서 워크아웃에 대해 공부해 보았는데, 이번에는 법정관리에 대해 공부해 보았다. 2. 법정관리 법정관리는 위기에 처한 기업을 살리기 위해 '법원에서 지정한 제 3자'가 자금을 비롯한 '기업 활동의 전반을 대신 관리하도록 하는 제도' 이다. 보통 자력으로는 파산을 면하기 어렵지만 도움을 받으면 회생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워크아웃과 법정관리 모두 자체적으로 경영이 어려운 기업에 대한 조치임에서 공통적이지만, 법정관리는 장기적인 측면에서도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 실시하는 법원 차원의 관리라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채권단이 주도하는 워크아웃과는 달리 법정관리 종목은 법원 차원에서 직접..
-
[투자] 워크아웃과 법정관리 - 1. 워크아웃주식 2018. 11. 12. 06:10
경제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살면서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라는 말을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나 또한 그러했으나, 둘의 차이를 정확히 알지 못해 공부하게 되었다. 이번에는 워크아웃에 대해 먼저 정리해 보았다. 1. 워크아웃 워크아웃은 '채권자 지위에 있는 금융사에서' '회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기업'을 살려내기 위해 취하는 작업을 말한다. 다시 말해, 돈을 빌려준 금융사들이 빌려준 돈을 회수할 수 있도록 위기에 처한 기업을 도와주는 것이다. 기업의 위기가 감지되면 가장 많은 자금을 대출해준 금융사에서 채권단을 소집하게 되고, 다른 채권 금융사들과 함께 기업의 경영 상태를 조사한다. 여기서 회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워크아웃을 실시하고,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면 법정관리나 파산 절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