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
[영어 개념정리] Chap 5-1. 능동태와 수동태 - 알아두면 좋은 동사(1)영어 2020. 11. 15. 11:57
[ (1) 4형식 동사 ] give : '받는 사람'에게 '목적어'를 주다 - 능동태 : '주어' + give + '받는 사람' + '목적어' → I gave her a present. or '주어' + give + '목적어' + 'to(for) 받는 사람' → I gave a present to her. - 수동태 : '받는 사람' + be given + '목적어' + 'by(from) 주어' → She was given a present from me. or '목적어' + be given + 'to(for) 받는 사람' 'by(from) 주어' → A present was given to her by me. offer : '받는 사람'에게 '목적어'를 제공하다 - 능동태 : '주어' + offer +..
-
[영어 개념정리] Chap 4. 능동태와 수동태 - 기본개념영어 2020. 11. 13. 06:00
[능동태와 수동태의 뜻] 능동태 : 주어가 동사 행위의 주체가 되는 태 수동태 : 주어가 동사 행위의 대상이 되어 행위를 당하는 태 능동태는 '주어'가' 목적어'를' 동사'한다' 고 해석되고, 수동태는 목적어'가' 동사'된다' (주어에 '의해') 고 해석된다. 능동태 문장에서의 '~을', '~를'에 해당하는 목적어가 수동태 문장에서의 주어가 되기 때문에, 목적어를 가진 문장만 수동태 문장으로 바꿀 수 있다. (1,2형식 문장은 수동태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
[영어 개념정리] Chap 3. 주어와 동사 - 수 일치영어 2020. 11. 13. 05:46
[be동사의 수 일치] be동사가 현재 시제나 과거 시제인 경우 주어와의 수 일치가 필요하다. 주어가 1인칭 단수이면 am/was, 3인칭 단수이면 is/was, 그 외(2인칭 단수 또는 모든 인칭의 복수)에는 are/were를 쓴다. 미래 시제일 경우 공통적으로 will be를 사용하며 수 일치가 필요 없다. [일반동사의 수 일치]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현재 시제의 동사에 s(혹은 es)를 붙인다. 과거/미래 시제일 경우 수 일치가 필요 없다. [조동사의 수 일치] 조동사는 주어의 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조동사는 주어와의 수 일치를 하지 않아도 되고, 시제 일치만 하면 된다. [자주 접할 수 있는 수 일치 형태] 'every+단수명사', 'each+단수명사'가 주어일 때 → 단수동사 'one..
-
[영어 개념정리] Chap 2. 주어와 동사 - 조동사영어 2020. 11. 2. 06:57
[조동사의 정의] 조동사란 일반적으로 be동사나 일반동사 앞에 쓰여 뒤쪽의 be동사나 일반동사에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는 기능을 한다. 동사의 일종으로 본다. '조동사 + be동사/일반동사' 가 한 묶음으로 해석된다. [조동사의 종류] 조동사에는 can(could), may(might), must, shall(should), will(would) 등이 있다. could, might, should, would는 과거형태이나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1) can, could - can : 가능성을 나타내며 일반동사와 함께 쓰여 '~할 수 있다', be동사와 함께 쓰여 '~일 수 있다' 로 해석된다. 또는 추측이나 의혹을 나타내기도 하며, (It cannot be ~ / How can it be~ ?) 허가의..
-
[영어 개념정리] Chap 1. 주어와 동사 - 기본개념영어 2020. 10. 28. 06:48
[주어] 1. 주어는 ‘~은,~는,~이,~가’로 해석된다. 2. 주어 자리에 올 수 있는 것: 문장에서 ‘명사의 범주에 해당하는 것’ 이 주어가 될 수 있다. → 명사 / 대명사 / 동명사(동사+ing) / to부정사(to+동사원형) / 명사절 3. 가주어 it과 진주어: 주어가 길면 가주어 it을 주어 자리에 대신 쓰고 긴 주어는 뒤로 보낸다. 뒤로 보내는 진주어는 주로 that절(that+주어+동사)이나 to부정사구가 된다. *there is/remain/exist (~가 있다) 절에서의 there도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가주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가주어 it과 비인칭주어 it은 모두 문장 안에서 해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같다. 그러나 가주어 it의 경우 진주어가 문장 안에 존재하나, 비..
-
'내말이!'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영어 2018. 11. 28. 21:21
대화를 하다가, 상대방의 의견에 격하게(?) 동의하는 경우 짧게 '내말이!' 라고 하게 된다. '내말이!'가 어울리는 상황에서 '그래 나도 그렇게 생각했다니까!' 라든지 '그래 그게 내 생각이었다니까!' 라고 말하기엔 뭔가 상황에 딱 맞지 않는 것 같고 타이밍도 그다지 맞지 않는 느낌이 든다. '내말이!'가 딱 어울리는 상황에는 그걸 써야 가장 잘 어울리는데, 영어로는 '내말이!' 를 어떻게 할까? 영어로는 'I mean!' 이라고 한다. 한글 만큼이나 아주 짧고 간단하다. 영어와 한국어가 이렇게 정말 거의 똑같은 의미로 길이까지 비슷하게 일대일 대응이 되는 경우가 그렇게 많지 않는데, 'I mean!'은 우리나라말의 '내말이!'의 의미를 거의 100% 담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 조금 더 길게 말하고..
-
'아쉽다', '아깝다'의 영어회화 표현 - 어떻게 말할까?영어 2018. 11. 23. 00:14
영어공부를 하면서 종종 느끼는 것은 어떤 상황에 정말 100% 맞는 영어표현을 찾기가 쉽지 않을 때가 꽤 많다는 점이다. 감정을 언어로 만들고, 언어가 다시 감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면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 간에 느끼는 감정들이 그 종류와 깊이에 있어 완전히 같지는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아쉽다'와 '아깝다'를 영어로 말하고 싶을 때는 1. 아쉽다 '아쉽다'는 'It's a shame that ~ 으로 표현할 수 있다. ex 1) It's a shame that you couldn't come to see me yesterday. (너가 어제 나 보러 못 와서 아쉬웠어.) ex 2) It's a shame that I wasn't at the alumni reunion last ni..
-
Accent와 Intonation의 차이영어 2018. 11. 19. 22:14
인터넷에서 억양에 관해 검색을 하다 보면, Accent와 Intonation이 종종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과연 Accent와 Intonation은 같은 것인지, 아니라면 어떻게 다른지 공부해보았다. 공부한 결과, 결론부터 말하면 둘은 비슷하지만 다르다! 어떻게 다른지 지금부터 적어 보겠다. Accent : 강세, Intonation : 억양 우선, 사전에 검색해 보아도 둘의 정의는 분명히 다르게 나온다. Accent는 강세이고, Intonation은 억양이다. 강세란 한 단어 안에서 해당되는 개념이고, 억양이란 한 문장 혹은 여러 단어들 안에서 해당되는 개념이다. 1. Accent(강세) Accent는 한 단어 안에서 주는 강세(stress), 힘을 의미한다. 단어 안에서의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