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증자
-
[투자] 권리락과 배당락 - 1. 권리락주식 2018. 11. 24. 09:07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권리락과 배당락 중 적어도 하나는 한번쯤 겪어 볼 것이다. 나의 경우에는 그 개념에 대해 피상적으로는 알고 있으나 정확하게는 알고 있지 못해 이번 기회에 공부해 보았다. 1. 권리락 : 주주배정 유상증자 혹은 무상증자에서 신주 배정 기준일에 주주 자격을 갖추지 않아 신주를 배정받을 권리가 없어지게 되는 것. 신주배정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신주인수권을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되고, 이것이 결정되는 날이 권리락일이 된다. 매수계약체결일에서 2영업일이 지나야 실질적으로 결제가 되어 주식을 소유하는 형태가 되므로, 신주배정기준일에 주식을 소유하고 있으려면 신주배정기준일에서 2영업일 전에 해당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 이 날이 신주를 받을 수 있는지 아닌지..
-
[투자]유상증자와 무상증자 - 2. 무상증자주식 2018. 11. 4. 14:22
이전 글에서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번에는 무상증자에 대해 적어 보겠다. 유상증자(이전글) 링크 : https://improvemyself.tistory.com/14?category=684517 2. 무상증자 무상증자란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나 대금을 받지 않고 자본금을 늘리는 것이다. 무상증자를 실시하는 이유는 대표적으로 주식의 거래 활성화를 유도하거나, 회사가 재무구조 및 미래 사업성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어 더 많은 잠재 수요를 창출하는 것 등이 있다. 무상증자의 방식은 유상증자의 경우처럼 세분화되어 있지 않다. 자금의 조달을 하지 않는 증자이므로, 자금의 재원이 어디인가에 따라 세분화되었던 유상증자의 경우와 달리 무상증자는 기존주주를 신주배정대상으로 하는 무상증자 한 가지가 전부이다. 전반적..
-
[투자]유상증자와 무상증자 - 1. 유상증자주식 2018. 11. 4. 14:21
흔히 주식에 대해 공부하다 보면 대체로 유상증자는 악재로, 무상증자는 호재로 받아들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왜 그런가에 대해 증자의 각 유형별 방식 및 이유, 결과, 회계상 처리방법 및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유상증자 유상증자란 회사가 신주를 발행하여 신주 대금을 받고 자본금을 늘리는 것이다.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이유는 새로운 자금이 필요해져서이며, 사업 확대, 부채 상환 등이 자금 조달의 이유가 될 수 있다. 유상증자의 방식은 자금조달을 어디서 하느냐에 따라 1)주주배정 유상증자, 2)일반공모 유상증자, 3)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3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1)주주배정 유상증자는 말 그대로 기존 주주에게 청약 기회를 부여하는 유상증자이다. 유상증자 공시 -> 청약(or 신..
-
[주식투자, 전자공시로 끝장내기] by 윤킴책 2018. 11. 4. 14:05
제목 : 주식투자, 전자공시로 끝장내기 저자 : 윤킴 1. 선정이유 2주 전 주말, 회계/재무 관련하여 기초를 쌓을 만한 책이 읽을만한 것이 무엇이 있는지 한번 둘러보려고 교보문고에 갔다. 사실 처음 염두에 두고 간 책은 '주식해부학', '박 회계사의 재무제표 분석법' 과 같은 책이었다. 그런데 그러한 책들을 포함하여 둘러보다가 이 책이 기업공시의 주요 내용들(증/감자, 합병/분할, 자기주식 등)에 대한 개념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어, 그러한 개념적 기초를 쌓는 것이 투자에 있어서나 실무적으로나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구입하게 되었다. 2. 저자는 누구인가 저자 윤킴은 블로거로, 블로그 '윤킴의 입장'(https://blog.naver.com/yunvestor1)을 운영하고 있다. 하루에 약 5..